AWS에서 EC2는 일반적으로 웹 서버로 사용이 되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서버가 필요한데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 고민이 많으시죠? 저도 그 마음을 이해를 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EC2와 같이 둬서 사용 하면 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하시겠지만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자원 소모가 큰 것을 같이 두는 것 또한 속도 적인 측면에 문제가 있는 것 같아 계속적으로 고민을 하다 보니 많이 힘들었습니다.
여러 방법을 고민을 하던 제가 공부와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생각을 한 결과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여기에 두면 제일 최적화가 될 수 있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제가 생각한 방법을 적용을 해 보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최적에 장소는 바로 AWS에 있는 RDS 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RDS를 통해서 만들면 같은 AWS에 있다 보니 동작 측면에서 빠르게 동작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 RDS 생성을 하시는 것을 첫 단추라고 생각을 하시고 이 글을 따라 RDS 생성을 진행을 해주시고 추후에 EC2와 연동이 되는 것을 진행을 할 예정입니다.
AWS RDS 란?
RDS란 Relational Database Service라는 뜻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입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많이 사용합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사람의 이해가 쉽기 때문입니다. 이 서비스를 AWS 직접 제공을 해주기 때문에 추후에 AWS 안에서는 같은 망에서 이동이 일어나므로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습니다.
RDS 생성
AWS 검색 창에 RDS라고 치시면 아래 사진과 같이 RDS가 나옵니다.
RDS 화면으로 이동을 합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클릭을 하면 됩니다.
데이터베이스 생성 화면으로 이동을 합니다. 여기서 표준 생성과 MariaDB를 클릭을 해줍니다. MariaDB는 무료라서 많이 사용이 되고 또한 MySQL과는 호환이 되므로 MariaDB를 클릭하고 진행을 하면 됩니다.
※ 필요에 따라서 알맞게 엔진 옵션을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
템플릿은 프리터어로 해줍니다. 그리고 DB 인스턴스 식별자는 바꿔도 되지만 굳이 바꾸지 않고 진행을 해줍니다. 그리고 자격 증명 설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자격 증명 설정을 잊어 먹거나 잘못하시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을 할 수 없습니다. 마스터 사용자 이름은 기분 admin이나 root로 해주시고 마스터 암호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스토리지는 아무것도 변경 없이 그대로 진행을 해줍니다. 할당된 스토리지만 20G인지만 확인하고 내려갑니다. 컴퓨팅 리소스부터 DB 서브넷 그룹까지는 기본 설정으로 진행을 합니다.
퍼블릭 엑세스는 ‘예’로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그래야 공용으로 접속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 밑에 모든 내용은 기본 설정으로 진행을 해줍니다. 마지막으로 제일 하단에 데이터베이스 생성 버튼을 클릭해서 데이터 베이스를 만들어 줍니다.